선물 거래 제대로 알기
현물 거래 (Spot Trading)

현물 거래는 암호화폐를 즉시 매수하거나 매도하는 거래 방식입니다. 일반적으로 이야기되는 거래 방식으로, 거래가 성사되면 곧바로 해당 자산이 교환됩니다.
선물 거래 (Futures Trading)

선물 거래는 미래의 특정 시점에 정해진 가격으로 자산을 매수하거나 매도하는 계약을 거래하는 방식입니다. 즉, 현재의 가격에 기반하여 미래에 자산을 사고 팔 수 있는 권리를 거래하는 것입니다.
선물 거래 시작 전 알아두어야할 것 6가지
1️⃣ 롱 포지션(Long Position)
롱 포지션은 자산의 가격이 상승할 것이라고 예상하여 매수하는 거래 방식입니다. 간단히 말해, 저렴한 가격에 사서 나중에 더 높은 가격에 팔아 이익을 얻는 전략입니다.
현재 비트코인의 가격이 10,000,000원일 때 롱 포지션을 취하면, 가격이 12,000,000원으로 상승했을 때 매도하여 2,000,000원의 이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2️⃣ 숏 포지션(Short Position)
숏 포지션은 자산의 가격이 하락할 것이라고 예상하여 매도하는 거래 방식입니다. 기본적으로 가격이 높을 때 팔고, 나중에 가격이 낮아졌을 때 다시 사서 차익을 얻는 전략입니다.
현재 비트코인의 가격이 10,000,000원일 때 숏 포지션을 취하면, 가격이 8,000,000원으로 하락했을 때 다시 매수하여 2,000,000원의 이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3️⃣ 레버리지 (Leverage)
레버리지는 자신의 자본보다 더 큰 금액을 거래할 수 있게 해주는 기능입니다. 이는 거래소에서 자본을 차입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잠재적인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지만, 동시에 손실도 크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
10배 레버리지를 사용하면 1,000,000원의 자본으로 10,000,000원 가치의 거래를 할 수 있습니다.
4️⃣ 마진 (Margin)
마진은 레버리지를 사용하여 거래할 때 필요한 보증금입니다. 이는 거래소에서 레버리지를 제공하기 위해 요구하는 최소한의 자본을 의미합니다.
10,000,000원 가치의 거래를 하기 위해 10%의 마진이 필요하다면, 1,000,000원의 자본이 필요합니다.
5️⃣ 펀딩비 (Funding Fee)
펀딩비는 무기한 선물 계약(Perpetual Futures Contracts)에서 롱 포지션과 숏 포지션 간의 수요와 공급을 균형 있게 유지하기 위해 거래소에서 정기적으로 부과하거나 지급하는 수수료입니다.
6️⃣ 강제 청산 (Liquidation)
강제 청산은 마진 요구를 충족하지 못할 때 거래소에서 자동으로 포지션을 청산하는 것입니다. 이는 손실이 마진 자본을 초과하지 않도록 보호하기 위한 메커니즘입니다.
만약 1,000,000원의 마진으로 10,000,000원 가치의 포지션을 유지하고 있는데, 손실이 마진을 초과하면 거래소는 자동으로 포지션을 청산하여 추가적인 손실을 방지합니다.
선물 거래의 장점
✔ 레버리지 사용
선물 거래는 레버리지를 사용하여 초기 자본보다 더 큰 포지션을 취할 수 있습니다. 10배 레버리지를 사용하는 경우, 1,000,000원의 자본으로 10,000,000원 가치의 거래를 할 수 있습니다. 이는 잠재적인 수익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1,000,000원의 자본으로 10배 레버리지를 사용하여 비트코인을 매수할 경우, 비트코인의 가격이 5% 상승하면 500,000원의 이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는 초기 자본 대비 50%의 수익률입니다.
✔ 양방향 거래
선물 거래는 자산 가격이 상승할 때뿐만 아니라 하락할 때도 수익을 올릴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즉, 가격이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면 매도(숏) 포지션을 취하여 이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 리스크 관리
선물 거래는 포트폴리오의 리스크를 관리하는 데 유용합니다. 예를 들어, 이미 많은 비트코인을 보유하고 있지만 단기적으로 가격 하락이 우려된다면, 선물 시장에서 매도 포지션을 취해 가격 하락에 따른 손실을 상쇄할 수 있습니다.
🌎 해외 코인 거래소, 이제 한국어로!
설치 한번으로 다양한 해외 거래소를 한국어로 이용하세요
